기지주의 관점에서 본 로르카*1) 안영옥 단독/고려대학교 Ahn, Young-ok(2015), Lorca visto por el conceptismo, Estudios Hispánicos, 74, 137-159. Este estudio consiste en ver la poesía de Lorca desde el punto de vista de la teoría de conceptismo comparándola con la de Quevedo, ya que el conceptismo más elaborado y expresivo está más claramente presente en la poesía satírico-burlesca de Quevedo. La respuesta categórica a la pregunta ¿qué es el conceptismo?, está contenida en el Discurso II, IV, VI y X de Agudeza y arte de ingenio de Baltazar Gracián, cuyo nombre es sinónimo de conceptismo: “De suerte que se puede definir el concepto: es un acto de entendimiento que exprime la correspondencia que se halla entre los objetos;.Cuando esta correspondencia está recóndita, y que es menester discurrir para observarla, es más sutil cuando más cuesta; cuánto más escondida la razón, y que cuesta más, hace más estimado el concepto; no cualquiera semejanza contiene en sí sutileza, ni pasa por concepto, sino aquellas que incluyen alguna otra formalidad de misterio.” Semejante definición la encontramos en Lorca. Según él, la poesía es la unión de dos palabras que uno nunca supuso que pudieran juntarse, y que forman algo así como un misterio. Como podemos ver que no sólo el conceptismo de Gracián sino la teoría poética de Lorca nos niega la visión directa de su objeto y nos fuerza a contemplar su imagen en otras cosas y nos provoca el misterio. Dirían que ese método de relacionar o en asociar dos ideas lo más distantes posibles es procedimiento que existe en todo tipo de poemas. Pero diremos que la novedad reside precisamente en que los objetos o ideas relaciondos sean lo más distantes posibles. Pero este estudio no está en decir que Lorca es conceptista, sino está en mostrar en qué puntos se diferencian en los fenómenos presenciales de ambos poetas, aunque están * 이 논문은 2014년 고려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됨. 138 스페인어문학 제74호 fundados en la misma definición básica de poesíar. Y está en evidenciar de qué se procede la de Lorca. [Lorca/ Quevedo/ conceptismo; 로르카/ 케베도/ 기지주의] 1. 서론 로르카의 시 경향에 대한 이론은 다양하다. 상징주의에서 시작하여 신대 중주의, 초현실주의, 공고라의 영향에서 현대시의 특징으로 정의되는 이론 에 이르기까지 많은 의견들이 존재하고 각각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는 아 닐지라도 그와 관련된 글들이 여러 지면에 걸쳐 소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다양한 이론들에 하나 덧 붙여 스페인 문학의 기저를 이루며, 스페 인 역사 속에서 민족성으로까지 정의되고 있는 기지주의의 관점에서 로르 카의 시를 살펴보고자 한다. 기지주의 관점에서 그의 시를 이해한다고 해 서 로르카를 기지주의 시인이라고 정의하고자 하는 게 아니다. 기지주의 시론과 로르카 시론이 참으로 유사하다는 데서 본 연구는 시작되고, 기지 주의의 대표 시인인 케베도와 로르카 시를 비교 분석함으로서 동일한 시론 에 기초하고 있지만 그들 간의 차별성은 어디에 있으며 그 이유는 무엇인 지를 살펴보자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각자의 시 경향이 더욱 분명하 게 정리될 것이며, 나아가 궁극적으로 로르카 시의 본질이 어디에 있는지 알게 될 것이다. 기지주의라 함은 17세기 스페인 바로크를 대표하는 두 가지 시론 중 하 나로 케베도를 그 대표자로 소개하고 있다. 그 이론의 핵심은 ‘가능한 가장 닮지 않은, 거리가 먼 두 개념을 관계 짓고 합쳐 신비를 만들어 내는 것’에 있고 가급적 ‘응축되고 간결한 표현과 내용’에 있다. 그런데 로르카는 자신 의 시론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시? 시가 무엇이냐고 묻는다 면 그러니까, 사람이 결코 같이 합칠 수 없다고 생각하는 두 단어의 연합이 다. 그렇게 함으로서 하나의 신비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뱉으면 뱉을수록 더 많은 암시만을 줄 뿐으로, 예를 들자면 시란 ‘상처 받은 사슴’이다.”1) 1) Federico Garcia Lorca(1988), Poema del Cante Jondo/ Romancero gitano, ed. Allen
© Copyright 2025